추천글

꽃게철 가을 언제?

가을 꽃게철, 진짜 제철은 언제일까? 가을은 해산물 애호가들의 미각을 자극하는 계절입니다. 특히 그 중에서도  꽃게 는 살이 통통하게 오르고, 감칠맛이 절정을 이루는 시기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가을 꽃게철이 정확히 언제인지, 왜 이 시기에 꽃게를 먹어야 하는지, 암꽃게와 숫꽃게의 차이, 제철 꽃게 고르는 팁, 보관 방법, 요리법까지 상세하게 소개합니다. 가을 꽃게철 언제? 꽃게철은 왜 ‘가을’일까? 꽃게는 연중 두 번 큰 시즌을 맞이합니다. 봄(4~5월)과 가을(9~11월)이  그 시기인데요, 이 두 계절 중에서도  가을철(9월~11월 중순) 은 꽃게 맛의 절정을 이루는 시기로 평가받습니다. 봄에는  암꽃게가 알을 품은 시기 로 ‘게장’에 적합한 시기지만, 살이 꽉 찬 정도는 가을만 못합니다. 반면  가을 꽃게는 산란을 마친 후 영양을 보충하면서 살이 오르고 단맛이 강해지는 시기 입니다. 특히  숫꽃게 는 봄보다 가을에 훨씬 맛이 좋고 육질이 쫄깃합니다.   가을 꽃게 제철 시기 구분 시기 특징 봄꽃게 (암꽃게) 3월 ~ 5월 초 알이 꽉 찬 꽃게장용 가을꽃게 (숫꽃게) 9월 ~ 11월 중순 살이 꽉 차고 육질 풍부 특히  9월 중순부터 10월 말까지 는 서해안, 남해안, 인천 강화도, 충남 홍성, 전남 영광 등에서 꽃게 조업이 한창입니다. 이 시기에 잡히는 꽃게는 살이 통통하고, 내장이 많아 맛이 진합니다. 가을 꽃게철에 가볼만한 국내 산지 추천 가을 꽃게철에는 신선한 꽃게를 먹기 위해 직접 산지를 방문하는 여행객들도 많습니다. 다음은 대표적인  꽃게 산지 입니다. 충남 서천 장항항 매년 가을 꽃게축제 개최 활꽃게 위주로 직판장 운영 전남 영광 법성포 남해안 꽃게 주요 산지 꽃게장, 꽃게찜 전문 음식점 다수 인천 강화도 외포리 수도권에서 접근성 뛰어남 꽃게, 대하, 새우철 겹치는 시기 겹침 경남 거제도 장승포항 꽃게와 함께 해산물 시장 분위기 체험 가능 꽃게...

주요 낚시 어종 물고기 4대돔(참돔-상사리,감성돔-감생이,돌돔-뺀찌,벵에돔) + 농어 새끼 이름 별칭 방언 일본이름, 영어이름 정리

 

주요 낚시 어종 물고기 4대돔

어종 물고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오늘은 주요 낚시 어종 중에서도 널리 알려진 4가지 돔류 물고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네 가지 돔은 참돔, 감성돔, 돌돔, 그리고 벵에돔입니다. 각 어종의 특징, 일본 이름, 별칭, 방언, 그리고 영어 이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참돔 (Red Seabream)


  • 영어 이름: Red Seabream, Progy, Snapper
  • 일본 이름: 마다이 (マダイ)
  • 방언: 상사리 (전남/참돔새끼), 도미, 돔, 돗도미, 배들레기 (제주/새끼를 지칭), 고다이 (경상/새끼), 붉딩이, 아까다이, 황돔 (제주)
  • 별칭: 가즉어, 내즉어, 입어, 참도미, 진도미어, 해즉어, 강항어 (자산어보), 독미어 (전어지), 도음어 (경상도지리)

참돔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어종 중 하나로, 다양한 지방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Red Seabream이나 Snapper로 불리며, 뉴질랜드에서는 이 어종을 영어로 "Snapper"라고 부르는데, 이는 참돔의 특징적인 붉은 빛 때문입니다. 양식 참돔은 대부도와 영종도 유료 바다낚시터에서 잡히며, 그 색깔은 진하고 탁합니다.

감성돔 (Black Porgy)


  • 영어 이름: Black Porgy, Black Sea Bream
  • 일본 이름: 구로다이 (グロダイ)
  • 방언: 감상어 (전남/성어), 감성도미 (경북), 감셍이 (부산), 구릿 (제주), 남정바리 (강원/새끼를 지칭), 뺑철이 (경북/새끼), 비돔, 비드락 (전남/새끼), 비디미, 배디미 (서해/새끼), 살감싱이, 똥감생이 (남해/새끼), 뱃돔 (제주)
  • 별칭: 흑조 (자산어보)

감성돔은 바다의 백작이라 불리며, 그 아름다운 무늬와 자태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었습니다. 다양한 지방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방언에 따라 다른 이름을 가집니다. 대표적으로 감상어, 감성도미, 감셍이 등이 있으며, 감성돔의 새끼는 감생이로 불립니다.

돌돔 (Striped Beakperch/Rock Bream)


  • 영어 이름: Striped Beakperch, Rock Bream
  • 일본 이름: 이시다이 (イシダイ)
  • 방언: 청돔 (충남), 갓돔, 물톳 (제주), 시마다이, 줄돔 (부산), 갯돔, 아홉동가리 (경남방언/표준에는 아홉동가리돔이 별도 존재함)
  • 별칭: 뻰찌 (돌돔 새끼)

돌돔은 크기가 50~60cm까지 자라며, 성장하면서 성전환을 할 수도 있습니다. 암컷은 줄무늬가 선명하고 검게, 숫컷은 줄무늬가 흐릿해지거나 옅어집니다. 그리고 돌돔 새끼는 뻰찌로 불리며, 성장하면 돌돔으로 불립니다.

벵에돔 (Opaleye/Girella/Rudder Fish/Largescale Blackfish)


  • 영어 이름: Opaleye, Girella, Rudder Fish, Largescale Blackfish
  • 일본 이름: 메지나 (メジナ)
  • 방언: 구릿 (제주), 구로 (경남), 구로다이 (경남), 깜정이 (전남), 깜정고기 (전남), 흑돔 (경남)
  • 별칭: 뱅에 (통칭)

벵에돔은 비교적 흔하진 않지만, 동해나 남해 지역에서 여름에 주로 잡히는 어종 중 하나입니다. 눈망울이 특이하게 생겨 어렵게 잡히는데, 이 어종의 별명은 "바다의 흑기사"입니다. 새끼를 따로 지칭하는 말은 없지만, 작은 크기의 어는 간혹 "뱅애"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농어 (Seabass)


  • 영어 이름: Seabass
  • 일본 이름: 스즈키 (スズキ)
  • 방언: 껄떼기, 까지매기, 농에, 연어병치, 보껄떡이, 가슬맥이, 깡다구, 독도돔
  • 별칭: 따오기, 깍정, 걸덕어

농어는 비교적 흔한 어종 중 하나이며, 낚시를 할 때 바늘 털이를 하는 장면이 매우 멋집니다. 농어와 민물의 배스는 습성과 생김새가 비슷하여 바다의 농어를 영어로는 "Seabass"라고 부릅니다. 방언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립니다.

이렇게 네 가지 돔류 물고기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각 어종의 특징과 다양한 이름들을 알아보면서, 어종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를 얻었을 것입니다. 낚시를 즐기거나 해산물을 좋아하는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또한, SEO 최적화를 위해 아래에 키워드를 나열해보겠습니다.

키워드: 참돔, 감성돔, 돌돔, 벵에돔, 농어, 어종, 물고기, 영어 이름, 일본 이름, 별칭, 방언, Seabass, Red Seabream, Black Porgy, Striped Beakperch, Opaleye, Girella, Rudder Fish, Largescale Blackfish, 낚시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지도 넙치군 난지면 커지리 19번지

시화방조제 박하지 철 해루질 잡는 법

인천 고등어낚시 연안부두 바다쉼터에서 낚시 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