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글

삼치 낚시 채비, 삼치 철, 금지체장, 시화방조제, 방아머리 선착장 낚시

삼치 낚시 채비, 삼치 철, 금지체장, 시화방조제, 방아머리 선착장 낚시 가을 바다의 대표 어종 중 하나가 삼치입니다. 삼치는 서해와 남해 전역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회유성 어종으로, 날렵한 체형과 강한 힘으로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특히 수도권 근교의 대표적인 낚시 포인트인 시화방조제와 방아머리 선착장은 매년 삼치철이 되면 수많은 낚시인들로 붐비는 장소입니다.  삼치낚시는 루어낚시의 손맛과 짜릿한 스릴을 동시에 느낄 수 있어 초보자와 베테랑 모두 즐기기에 좋은 장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삼치낚시에는 금지체장 규정이 있으며, 안전과 매너를 지키는 것도 필수입니다. 삼치 철 이번 글에서는 삼치낚시에 필요한 채비, 삼치철, 금지체장, 그리고 주요 포인트인 시화방조제와 방아머리 선착장 낚시 정보를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삼치 낚시 철 삼치는 수온이 20℃ 전후일 때 활발히 움직이며, 이 때문에 주로  8월 말부터 11월 중순까지가 삼치 낚시의 최적기 로 꼽힙니다. 여름 후반 (8~9월) : 삼치 떼가 연안 가까이 붙기 시작하는 시기. 마릿수 조과를 노리기 좋습니다. 가을 초중반 (9~10월) : 삼치의 활성이 가장 좋은 시기. 루어를 던지는 족족 입질을 받을 수 있어 시즌의 하이라이트입니다. 늦가을 (11월 전후) : 수온이 점차 낮아지며 삼치의 회유가 줄어듭니다. 씨알은 굵지만 마릿수는 줄어드는 시기입니다. 특히 수도권의 시화방조제는 바닷물 유통이 원활하여 삼치 회유가 자주 이루어지며, 9~10월 사이 주말이면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낚시꾼이 몰립니다. 삼치 금지체장 삼치는 작은 개체일수록 자원 보호 차원에서 방생이 요구됩니다. 법적 삼치 금지체장 : 삼치는  30cm 미만 의 개체를 잡아서는 안 되며, 잡더라도 반드시 방생해야 합니다. 현장 낚시 매너 : 실제로는 35cm 이상급부터 살림망에 넣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너무 작은 삼치를 잡아 무분별하게 가져가면 자원 고갈이 빨리 오기 때문입니다. 낚시꾼 사이에...

고등어 낚시 시기, 서해안 낚시 채비, 미끼, 좋은 물때

고등어 낚시 시기, 서해안 낚시 채비, 미끼, 좋은 물때

고등어는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대표 어종이자 낚시꾼들에게는 손맛과 입맛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인기 대상어입니다. 특히 여름과 가을, 서해와 동해, 남해 등지에서 많은 낚시인들이 방파제와 선착장, 선상에서 고등어 낚시에 도전하곤 합니다. 


하지만 고등어는 회유성이 강하고 수온과 물때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어종이기 때문에 시기와 장소, 채비, 미끼 선택이 맞지 않으면 조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고등어 낚시 시기, 채비, 도비도 천수만 삼길포 신진도 방파제 포인트

이번 글에서는 서해와 동해 고등어 낚시 시기효과적인 채비와 미끼, 그리고 좋은 물때 조건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서해안 고등어 낚시 시기


서해안은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조류 흐름이 복잡하기 때문에 고등어가 머무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 시즌: 6월 ~ 9월
  • 피크: 7월 말 ~ 9월 초 (수온 18~20도 전후)
  • 대표 포인트: 태안 신진도, 삼길포, 안흥항, 천수만, 마검포 방파제


여름철 휴가 시즌과 맞물려 가족 단위 낚시객이 많이 찾으며, 특히 삼길포 좌대낚시는 초보자도 쉽게 즐길 수 있는 명소로 꼽힙니다. 방파제에서는 카드채비를 활용해 한 번에 여러 마리를 낚아 올릴 수 있는 재미가 있습니다.


동해 고등어 낚시 시기

동해안은 수심이 깊고 수온 변화가 완만하여 고등어의 서식 기간이 길고, 조황도 좋은 편입니다.

  • 시즌: 4월 ~ 11월
  • 피크: 5월~6월, 9월~10월
  • 대표 포인트: 속초, 강릉, 울진, 포항, 울릉도, 독도


특히 울릉도와 독도는 고등어 낚시의 성지로 알려져 있으며, 한 번의 투척에 여러 마리를 낚아 올리는 풍성한 손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만 접근성이 떨어지고 비용 부담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고등어 낚시 채비


고등어 낚시는 장비가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집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채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등어 낚시 채비·장비

  1. 낚싯대와 릴
    • 스피닝 릴 2000~3000번급
    • 2.4~3.0m급 중경질 낚싯대
  2. 원줄과 쇼크리더
    • 원줄: PE 합사 0.8호 또는 나일론 2.5호~3호
    • 쇼크리더: 카본 2~3호 (필수)
  3. 카드채비
    • 바늘: 5~7본 카드채비
    • 바늘 크기: 8~10호, 형광·은색 계열이 효과적
    • 10~20호 봉돌 (조류와 수심에 맞춰 조정)


: 서해안 방파제에서는 카드채비가 가장 일반적이며, 동해 선상낚시에서는 메탈지그를 활용한 지깅 채비도 좋은 성과를 냅니다.


고등어 낚시 미끼

고등어는 다양한 먹이에 반응하지만, 상황에 맞는 미끼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생미끼: 청어, 정어리, 오징어 조각
  • 크릴새우: 가장 보편적이며, 초보자도 사용하기 쉬움
  • 가공미끼: 집어용 어분, 밑밥용 크릴 혼합
  • 루어: 메탈지그, 스푼, 소형 미노우

특히 크릴새우는 가격 대비 효과가 좋아 널리 사용되며, 밑밥으로 동시에 활용할 수 있어 집어력까지 더해 줍니다.


고등어 낚시 좋은 물때


물때와 조류는 고등어 낚시에 있어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입니다.

  • 조수 조건: 창조 시기, 즉 물이 들어올 때 조황이 좋음
  • 좋은 구간: 중들물~초썰물
  • 날씨 조건: 바람이 약한 날,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
  • 수온: 15~20도

특히 서해안의 경우 6물~10물 전후가 고등어 낚시 황금타임으로 꼽히며, 이 시기에 방파제나 좌대에 모여드는 고등어 무리를 노리면 짧은 시간 안에 다량의 조과를 올릴 수 있습니다.

고등어 낚시의 즐거움과 주의사항


고등어 낚시는 손맛과 식감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레저 활동입니다. 잡은 고등어는 회, 구이, 조림, 조개탕에 넣어 먹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낚시 도중 반드시 안전에 유의해야 합니다.

  • 구명조끼 착용
  • 미끄럼 방지화 준비
  • 선상 낚시 시 멀미약 필수
  • 기상 상황 확인 후 출조

결론


고등어 낚시는 계절과 지역별 시기를 정확히 알고, 상황에 맞는 채비와 미끼, 물때를 맞추는 것이 핵심입니다. 서해안은 짧지만 강렬한 여름 시즌이, 동해안은 긴 시즌 동안 풍성한 조과가 특징입니다. 




초보자도 쉽게 시작할 수 있고, 가족 단위로 즐기기 좋은 낚시인 만큼 올해 여름과 가을에는 방파제나 선착장에서 고등어 낚시를 경험해 보시길 권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가지도 넙치군 난지면 커지리 19번지

시화방조제 박하지 철 해루질 잡는 법

인천 고등어낚시 연안부두 바다쉼터에서 낚시 공원